1장. 프랑코폰(Francophone)과 프랑코포니(Francophonie)

2024. 8. 17. 11:00프랑스 언어와 사회

반응형

프랑코폰(Francophone)과 프랑코포니(Francophonie)의 개념

 

프랑코폰(Francophone)과 프랑코포니(Francophonie)의 개념은 다음과 같다 :

  1. 프랑코폰 (Francophone) :
    • 정의: 프랑스어를 사용하는 사람 또는 공동체를 지칭한다.
    • 범위: 프랑스 본국뿐만 아니라, 과거 프랑스의 식민지였던 국가나 지역, 그리고 프랑스어를 공용어나 주요 언어로 사용하는 모든 국가와 지역의 사람들을 포함한다.
    • 예시: 프랑스, 벨기에, 스위스, 캐나다 퀘벡, 아프리카의 여러 국가 등
  2. 프랑코포니 (Francophonie) :
    • 정의: 프랑스어를 사용하는 국가와 지역의 언어적, 문화적 공동체를 의미한다.
    • 기관: 국제프랑코포니기구(OIF, Organisation internationale de la Francophonie)를 통해 공식화되었다.
    • 목적: 프랑스어의 보급과 프랑스어권 국가들 간의 문화적, 경제적, 정치적 협력을 증진시키는 것이다.
    • 활동: 교육, 문화 교류, 경제 협력, 민주주의와 인권 증진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한다.
    • 회원국: 정회원, 준회원, 옵서버 등 다양한 형태로 88개국이 참여하고 있다(2023년 기준).
      La Fête de la Francophonie 2018 – Francophonie

프랑코폰과 프랑코포니는 단순히 언어적 공동체를 넘어서 문화적 다양성을 존중하고, 국제 협력을 증진하는 중요한 개념으로 발전해왔다. 이를 통해 프랑스어권 국가들은 글로벌 무대에서 자신들의 목소리를 내고, 공동의 이익을 추구할 수 있는 플랫폼을 가지게 되었다.

 

 

프랑스의 행정구역

 

1. 프랑스의 행정구역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:

 

       (1) 레지옹(Région) : 가장 큰 행정단위로, 본토에 13개가 있다.

       (2) 데파르트망(Département) : 레지옹 아래의 단위로, 본토에 96개가 있다.

       (3) 아롱디스망(Arrondissement) : 데파르트망 아래의 단위다.

       (4) 캉통(Canton) : 아롱디스망 아래의 단위다.

       (5) 코뮌(Commune) : 가장 작은 행정단위로, 시군구에 해당한다.

 

 

2. 프랑스 본토 13개 지방과 해외영토 5개  

 

 

프랑스어를 사용하는 나라

 

 

공용어와 제2언어

 

공용어와 제2언어는 각각 다른 개념이며, 주요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:

  1. 공용어 (Official Language)
  • 정의: 국가나 특정 지역에서 공식적으로 인정되고 사용되는 언어
  • 법적 지위: 정부, 교육, 미디어 등 공적 영역에서 공식적으로 사용
  • 사용 범위: 모든 공식 문서, 법률, 교육 시스템에서 사용
  • 예시: 스위스의 독일어, 프랑스어, 이탈리아어, 로만슈어
  1. 제2언어 (Second Language)
  • 정의: 모국어 이후에 배우거나 사용하게 된 언어
  • 법적 지위: 특별한 법적 지위가 없을 수 있음
  • 사용 범위: 개인적 또는 사회적 필요에 따라 사용
  • 습득 과정: 주로 학교 교육이나 환경을 통해 습득
  • 예시: 한국에서 영어를 배우는 경우

주요 차이점:

  1. 법적 지위: 공용어는 법적으로 인정되지만, 제2언어는 그렇지 않을 수 있음
  2. 사용 범위: 공용어는 모든 공식 영역에서 사용되지만, 제2언어는 개인이나 특정 상황에 따라 사용
  3. 습득 과정: 공용어는 태어나면서부터 자연스럽게 습득될 수 있지만, 제2언어는 대개 의도적인 학습을 통해 습득
  4. 유창성: 공용어는 대부분 원어민 수준의 유창성을 가지지만, 제2언어는 유창성 수준이 다양할 수 있음

 

 

프랑스 내 주요 지역언어

 

 

 

 

반응형